자료실

  • 열린마당
  • 자료실
전국 9개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 건강영향조사
  • 글쓴이 관리자
  • 작성일 2023-09-13 12:06:13
  • 조회수 1114
첨부파일 전국 9개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 건강영향조사(보도자료 과학원 9.7).hwpx

▷ 영월·제천을 시작으로 시멘트공장 주변 6개 지역에 대해 체계적 조사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소성로*를 보유하고 있는 전국 9개 시멘트공장 주변 6개 지역에 대해 공장 밀집도, 주민 수 등을 고려하여 영월·제천(2023년 9월∼2025년 12월)을 시작으로 단양, 삼척, 강릉·동해 지역 순으로 주민 건강영향조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 1,450∼2,000℃로 가열하여 석회석, 점토 등 원료로 클링커 생산, 유연탄, 합성수지(폐비닐 등), 폐타이어 등을 연료로 사용하며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 배출

** 지역별로 2년간 조사 예정이며, 예산 확보 상황에 따라 총 5∼9년 소요 예상 


국립환경과학원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시멘트공장 주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호흡기계 질환 중심의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나, 최근 호흡기계 질환뿐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 대한 건강 피해 우려 및 재조사 필요성 등이 제기됨에 따라 새롭게 조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해당 지역(6개)을 대상으로 △공장 배출구의 계절별 오염물질(중금속, VOCs 등) 배출현황 조사, △주민 거주지역의 환경매체별(대기, 토양 등) 오염도 조사, △체내(혈액·소변) 오염물질 농도분석 및 건강검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립암센터 등의 건강자료 분석 등 종합적인 건강실태를 조사할 예정이다.


※ 소성로가 폐쇄된 장성(2023.6.), 규모가 작은 청주 시멘트 공장은 제외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장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건강영향조사를 추진하고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주민과의 소통을 통해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1] 지역별 시멘트공장 인근 지도

 □ 영월(현대, 쌍용), 제천(아세아) 지역

    3개 공장이 밀집하여 영향권(반경 4km)중첩

 

단양(한일현대, 한일, 성신양회) 지역

   개별 공장끼리 영향권공유하며, 일직선으로 배열 


삼척(삼표) 지역

   시멘트공장이 시내위치거주 인구가 많은 지역 


강릉(한라)·동해(쌍용) 지역

   영향권이 중첩되지 않으며, 시내와도 다소 이격 



[붙임2]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 건강영향조사 추진계획

추진방향 

 공장에서 배출오염물질환경인체노출되고 주민에게 건강영향을 미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조사

 근로복지공단, 건강보험공단 등 관계기관객관적인 자료를 요청하고 확보·비교하여 신뢰성 있는 조사 결과 도출

 지역별로 통일조사계획을 수립·적용하여 2년간 사계절 환경측정, 주민 건강검진 건강자료 심층분석 등을 통해 종합적인 결과발표

 

(조사지역) 공장밀집영월·제천, 단양우선 조사 인구 규모에 따라 삼척, 강릉·동해 조사 실시

  조사지역에서 공장이 폐쇄된 장성(`23.6), 규모가 작은 청주 지역, 소성로가 없는 일반 시멘트공장은 이번 조사 완료 후 필요시 별도 추진

 

(환경조사) 공장 배출 오염물질 거동에 대한 과학적 조사 추진

 중금속,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먼지 등 시멘트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사계절 측정하고 모델링을 통해 영향범위 산출

 굴뚝원격감시체계(TMS) 및 과거 지도점검 자료 등을 활용한 대기확산모델링을 통해 영향권 범위를 선정하고거주지역최대 농도 착지 지점확인하여 위해성 평가 실시

 

(주민조사) 호흡기 질환력과 생체 내 유해물질 노출수준 평가

 공장 4km 이내에서 5년 이상 거주한 40세 이상 주민 대상 설문조사, 폐기능 검사, 근로기록 확인* 을 통해 비직업성 호흡기 질환 확인

 * 과거 조사 시 주민 설문조사에 의존해야 했으나, 환경보건법개정(`16)으로 근로복지공단에 자료 조회 가능

 주민 체내에서 공장관련성이 높은 중금속(5)1), VOCs 대사체(2)2), PAHs 대사체(4)3) 측정 후 거주지역·거리별 경향 분석 실시

 * 이전 조사에서 공장 영향권으로 알려진 4km 이내를 조사지역으로, 4km 외곽을 대조지역으로 설정하여 1,500, 500명 모집·조사

1) , 카드뮴, 수은, 크롬, 니켈

2) t,t-뮤콘산(t,t-MA), S-벤질머캅토산(BMA)

3) 1-하이드록시피렌(1-OHP), 2-나프톨(2-NAP), 1-하이드록시페난스린(!-PHE), 1-하이드록시플루오렌

(1-FLU)

 

(건강자료) 전문기관에서 확보객관적인 건강자료 분석 실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이용자료(`02~), 국립암센터 암자료(`99~), 통계청 사망자료(`00~) 등의 자료를 사용해 객관성·신뢰성 확보

 코호트구축*을 통해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발생 추이 분석 추진

 * 코호트를 구축하여 분석하는 경우 현재 거주민뿐 아니라 과거 공장 인근 주민이 다른 지역으로 전출 후 질환이 발생된 경우도 평가 가능

 

(종합평가) 조사 종료 후 모든 지역에 대한 메타분석* 실시

 질소산화물 배출 등 시멘트공장 특성유사한 점을 고려해 주민조사, 건강자료 등 지역별 결과를 통계적으로  통합하는 분석 수행

 통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소성로 보유 시멘트공장 배출 오염물질로 인한 인근 주민 건강영향 관련성 추론

 * 각 연구에서 얻은 정보를 정량적으로 통합해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

 

※ 보도자료 원문은 첨부파일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



이전글 환경부, 일선기관까지 업무행태 바꾼다
다음글 국내 항생제 내성 줄이기 위해 관계부처 함께 뭉친다